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죽전엄마손맛칼국수
- 백준 1260
- 서블릿
- 타일링 문제
- safe call
- JSP/서블릿
- 라즈베리파이 한글입력
- jsp
- 서울대입구역 하이볼
- 미스터하이볼
- 라즈베리파이 한글 깨짐
- 이것이 취업을 위한 코딩 테스트다 with 파이썬
- Kotlin 문법
- JavaScript
- javascript promise
- 코딩테스트 준비
- 샤로수길 미스터하이볼
- context 추가하기
- tomcat context
- 코틀린 프로그래밍
- 백준 1793
- tomcat 설치
- kotlin programming
-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 엘비스 연산자
- 엄마손맛칼국수
- CocoaPods 에러
- kotlin
- context 추가
- 알고리즘 공부
- Today
- Total
목록Algorithm (5)
semicolon;
벌써 5월이 되려고 하지만 나는 2022년의 새로운 목표를 세워버리고 말았다..! 진작 할 걸.. 바로 알고리즘 공부이다. 일단 퇴근하고 되는대로 풀어봐야겠다. 사람이 발전이 있어야지. 공부 커리큘럼은 이 블로그를 참고했다. https://steady-coding.tistory.com/260 알고리즘 공부를 어떻게 시작해야할까? (Feat. 백준 500문제 푼 기념으로 적는 PS 회고록) 안녕하세요? 코딩중독입니다. 어제 "백준 6219번 소수의 자격" 문제를 풀었고, 이것이 저의 500번째 푼 문제가 되었습니다. 물론, 아직 세자리수 등수에 들지 못하였고, 다른 분들이 보기에 많은 문 steady-coding.tistory.com 위에 PS를 열심히 하시게 된 이유를 써두셨는데, 너무 공감이 되어서 울..
Dynamic programming의 대표 예제인 타일링 문제이다. Dynamic programming 문제인 만큼 점화식을 세워서 풀었다. 이 문제에서 점화식은 d[i] = (d[i-1] + d[i-2]*2)로 구할 수 있다. 왜냐하면 타일이 i-1까지 모두 채워져 있을 경우에는 타일을 채울 수 있는 경우가 한 가지밖에 없고, 타일이 i-2까지 모두 채워져 있을 경우에는 타일을 채울 수 있는 경우가 두 가지가 있기 때문이다. 나는 파이썬으로 풀었다. 다음은 파이썬 코드이다. def dynamic(num): d = [0]*251 d[0] = 1 d[1] = 1 d[2] = 3 for i in range(3, num+1): d[i] = (d[i-1]+d[i-2]*2) print(d[num]) while T..
기본적인 dfs와 bfs 문제다. 기본이라서 무난하게 풀었지만, 그래도 삽질을 조금 했다.^^(삽질의 내용은 나중에 나온다ㅜ) 나는 이 문제를 풀기 위해 먼저 이어져 있는 노드를 다음과 같이 표로 표현해 봤다. 예를 들어, 4 5 1 1 2 1 3 1 4 2 4 3 4 이렇게 입력이 된다면 표로는 이렇게 나타낼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시각화를 하면 훨씬 문제를 풀기가 수월해지는 것 같다. 1 2 3 4 1 0 1 1 1 2 1 0 0 1 3 1 0 0 1 4 1 1 1 0 이렇게 해서 풀어낸 코드가 이것이다. python으로 코딩했다.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n, m, v = map(int, input().split()) arr = [[0]*(n+1) for j in ra..
최대공약수를 구하는 방법에는 유클리드 호제법이 있다. 유클리드 호제법이란 다음과 같다. 2개의 자연수 A, B가 있고, A와 B를 나눈 나머지를 r이라고 한다. (A > B) 이때, A와 B의 최대공약수는 B와 r의 최대공약수와 같다. 따라서 나머지가 0이 되었을 때 나누는 수가 A와 B의 최대공약수이다. ko.wikipedia.org/wiki/%EC%9C%A0%ED%81%B4%EB%A6%AC%EB%93%9C_%ED%98%B8%EC%A0%9C%EB%B2%95 유클리드 호제법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유클리드 호제법(-互除法, Euclidean algorithm) 또는 유클리드 알고리즘은 2개의 자연수 또는 정식(整式)의 최대공약수를 구하는 알고리즘의 하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