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tomcat context
- kotlin
- 라즈베리파이 한글입력
- 백준 1260
- kotlin programming
- 서울대입구역 하이볼
- 코틀린 프로그래밍
- jsp
- 코딩테스트 준비
- 라즈베리파이 한글 깨짐
- 타일링 문제
- context 추가
- 알고리즘 공부
- 죽전엄마손맛칼국수
- CocoaPods 에러
- 백준 1793
- javascript promise
- 엘비스 연산자
- context 추가하기
- 이것이 취업을 위한 코딩 테스트다 with 파이썬
- safe call
- JavaScript
- JSP/서블릿
- tomcat 설치
- Kotlin 문법
- 미스터하이볼
- 서블릿
- 엄마손맛칼국수
-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 샤로수길 미스터하이볼
- Today
- Total
목록Web Programming (8)
semicolon;
servlet 프로그래밍을 할 때 한글이 깨지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server에서 한글을 지원하지 않는 문자코드로 인코딩해서 서버에서는 UTF-8로 인코딩해 보냈지만 browser가 다른 코드로 해석한 경우 한글을 넣고 싶다면 UTF-8을 지정해 주는 것이 좋다. resp.setCharacterEncoding("UTF-8"); // UTF-8로 쓰기로 했다. resp.setContentType("text/html; charset=UTF-8"); // 이걸로 해석해라. 이를 넣어주면 된다.

localhost:8080/context에서 context를 추가하는 방법이다. 먼저, webapps 디렉토리에 ROOT 폴더 말고 하나의 폴더를 더 추가한다. 나는 해당 폴더의 이름을 cycoding으로 하겠다. 그 다음에는 apache-tomcat-9.0.41\conf의 server.xml을 건드려 줘야 한다. 여기서 원래의 ROOT와 새로 만든 context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노란색으로 칠한 부분에 아래와 같이 써넣어준다. 서버를 수정했으므로 다시 startup.bat을 실행해준다. 간단한 테스트를 위해 만든 context 폴더 안에 test.txt라는 파일을 넣어주었다. 그리고 localhost:8080/context명/test.txt를 실행하면 아래와 같이 나타나게 된다.

서블릿과 JSP 공부를 위해 tomcat 9를 설치해본다. tomcat.apache.org/ Apache Tomcat® - Welcome! The Apache Tomcat® software is an open source implementation of the Java Servlet, JavaServer Pages, Java Expression Language and Java WebSocket technologies. The Java Servlet, JavaServer Pages, Java Expression Language and Java WebSocket specifications ar tomcat.apache.org 여기에 들어가서 tomcat을 다운로드한다. zip 파일을 풀고, tomcat이 설..

웹 어플리케이션의 구조 웹 어플리케이션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사용자는 URL로 서버에 요청을 함(GET request) web server는 요청에 따라 Code를 찾아 실행한다. 이때, 바로 처리하거나 WAS로 전달하여 처리한다. WAS는 request를 적절히 처리한다. 만약 database작업이 필요하면 진행한다. WAS는 request 처리 결과를 response에 넣어 서버로 보낸다. 서버는 이를 사용자에게 보낸다. browser는 받은 것을 해석하여 화면을 출력해 사용자에게 보여준다. 2. 서블릿과 JSP의 개념 java로 web application을 만들기 위해 활용되는 것. 서블릿으로 작업할 경우 까다로운 점이 많아 이를 보완한 것이 JSP다.